맨위로가기

대순다 열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순다 열도는 인도네시아 서부에 위치한 주요 섬들을 지칭하는 지리적 용어이다. 이 용어는 고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지질학 및 지리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대순다 열도에는 수마트라, 자바, 보르네오, 술라웨시 등 주요 섬들이 포함된다. 각 섬은 다양한 생물종과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팜유 농장 개발, 벌목, 밀렵 등으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위협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순다 열도 - 마두라섬
    마두라섬은 자바섬 동쪽의 인도네시아 섬으로, 격동적인 역사를 거쳐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지배를 받았고 현재 약 400만 명의 마두라족이 거주하며 수니파 이슬람교가 주류인 가운데 종교 갈등이 존재하고, 수라마두 다리 건설로 서쪽 지역 산업화가 진행 중이며, 독특한 문화와 과거 한국과의 석유 개발 사업 연관성을 지닌다.
  • 대순다 열도 - 자와섬
    자와섬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섬으로, 고대 왕국에서 시작하여 이슬람교의 전파, 네덜란드 식민 지배를 거쳐 독립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는 인도네시아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동남아시아의 군도 - 말루쿠 제도
    말루쿠 제도는 인도네시아 동부에 위치한 1,027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다가 이슬람교가 전파되었고, 이후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지배를 거쳐 인도네시아 독립 후 종교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말루쿠 주와 북말루쿠 주로 나뉘어 농업과 어업을 중심으로 한다.
  • 동남아시아의 군도 - 순다 열도
    순다 열도는 말레이 제도에 위치하며 대순다 열도와 소순다 열도로 나뉘고, 순다 대륙붕 위에 위치하여 화산 활동과 지진이 잦으며, 브루나이,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5개국에 걸쳐 있는 섬들이다.
대순다 열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위치인도네시아 제도
좌표좌표: 0°00′N 110°00′E
군도대순다 열도
섬 수4
주요 섬수마트라, 술라웨시, 보르네오, 자바 (때로는 마두라, 방카, 벨리퉁, 방가이 제도, 리아우 제도와 같은 작은 섬들도 행정적으로 포함됨)
면적알려지지 않음
최고봉키나발루 산
해발고도4,095 m
행정 구역
브루나이템부롱
투통
블라잇
브루나이무아라
인도네시아아체
북수마트라
서수마트라
리아우
잠비
벵쿨루
남수마트라
람풍
반텐
자카르타
서자바
중앙자바
욕야카르타
동자바
서칼리만탄
중앙칼리만탄
북칼리만탄
동칼리만탄
남칼리만탄
남술라웨시
중앙술라웨시
서술라웨시
남동술라웨시
고론탈로
북술라웨시
말레이시아사라왁
사바
라부안
인구
인구 (2020년)2억 5,300만 명
민족자바족
순다족
말레이족
미낭카바우족
다약족
반자르족
기타 인도네시아인 및 오스트로네시아인

2. 어원

"순다(Sunda)"라는 용어는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그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다.[1]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 참조)

2. 1. 어원 관련 학설

"순다(Sunda)"라는 용어는 고대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반둥 공과대학교(ITB) 명예교수인 코에소마디나타는 "순다"가 흰색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Cuddha"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 지질학자 레이노트 빌렘 판 벰멜렌은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서자바 반둥 북쪽에 순다 산이라는 큰 화산이 있었고, 이 화산이 분화하면서 주변 지역이 흰색 화산재로 뒤덮여 "순다"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 언급했다.[1]

인도네시아 지역을 지칭하는 "순다"라는 용어는 서기 150년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탐사 보고서에서 찾을 수 있다. 1500년 포르투갈인들은 인도네시아에 도착하여 서자바의 순다 왕국을 탐험할 때 이 보고서를 참고했다. 그들은 이 지역의 더 큰 서쪽 섬들을 대순다(Sunda Besar)로, 동쪽의 작은 섬들을 소순다 열도(Sunda Kecil)로 불렀다.[1]

이후 "순다"는 지구 과학(지질학-지리학)에서 인도네시아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널리 사용되어, 이 분야에서 "인도네시아"라는 용어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대순다와 소순다는 지질학-지리학 문헌에서 흔히 사용된다. 코에소마디나타는 오늘날에도 지구 과학에서는 "순다 열도"가 "인도네시아 열도"보다 더 널리 알려져 있다고 설명한다.[1]

"순다"는 대륙붕 또는 육괴를 나타내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에는 서쪽의 순다 쉘프, 동쪽의 사훌/아라푸루 쉘프 등 두 개의 쉘프가 있다. "순다"와 관련된 다른 용어로는 순다 열도 호, 나투나 해의 순다 습곡 또는 구조적 습곡, 순다 해구, 순다랜드가 있다.[1]

3. 지리

술라웨시는 보르네오와 말루쿠 제도 사이에 있는,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섬이다. 11개의 활화산이 있어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규모 지진에도 취약하다. 이러한 자연 재해는 술라웨시의 지리적 위치, 적도와의 근접성, 지각판과의 연관성 때문이다.[11]

1960년에 이 섬은 더 큰 경제적, 사회적 통제를 위해 북부와 남부 두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다. 북술라웨시는 산악 지형으로 대부분의 화산이 위치해 있고, 남술라웨시는 산호초와 하천 등 해안 지형이 더 많다. 1964년에는 북술라웨시, 중술라웨시, 동남술라웨시, 남술라웨시의 네 개 주로 더 세분화되었다.[12]

자바섬은 대순다 열도의 최남단 섬으로, 면적은 1,300만 헥타르가 넘는다. 대부분의 토지가 경작되고 있지만, 다양한 숲과 야생의 산악 지역도 여전히 존재한다.[22]

3. 1. 대순다 열도

"순다(Sunda)"라는 용어는 고대부터 사용되었다. 반둥 공과대학교(ITB) 명예교수인 코에소마디나타는 "순다"가 흰색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Cuddha"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 지질학자 레이노트 빌렘 판 벰멜렌은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서자바 반둥 북쪽에 순다 산이라는 큰 화산이 있었고, 이 화산 분화로 주변이 흰색 화산재로 뒤덮여 "순다"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 언급했다.

서기 150년, 지리학자 프톨레마이오스는 인도네시아 지역을 지칭하는 "순다"라는 용어를 탐사 보고서에 사용했다. 1500년 포르투갈인들은 인도네시아에 도착하여 서자바의 순다 왕국을 탐험할 때 이 보고서를 참고했다. 그들은 이 지역의 더 큰 섬들을 대순다(Sunda Besar), 작은 섬들을 소순다 열도(Sunda Kecil)로 분류했다.

이후 "순다"는 지구 과학(지질학-지리학)에서 인도네시아 지역을 지칭하는 데 널리 사용되어, "인도네시아"라는 용어보다 더 많이 사용되었다. 코에소마디나타에 따르면, 오늘날에도 지구 과학에서는 "순다 열도"가 "인도네시아 열도"보다 더 널리 알려져 있다.

"순다"는 대륙붕 또는 육괴를 나타내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에는 서쪽의 순다 쉘프, 동쪽의 사훌/아라푸루 쉘프 등 두 개의 쉘프가 있다. "순다"와 관련된 다른 용어로는 순다 열도 호, 나투나 해의 순다 습곡, 순다 해구, 순다랜드가 있다.[1]

수마트라는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로 크고 가장 서쪽에 있는 섬이자,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이다. 473481km2[2] 크기의 수마트라는 열대 우림의 터전으로, 인류 문명과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한다. 적도와 가까운 위치(1º S, 101º E)[3]는 열대 기후를 결정하며, 엘니뇨라니냐의 영향을 받게 한다.[4]

수마트라는 행정적으로 12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뉜다. 이 지역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섬 전역의 정치, 경제, 문화적 관계 유지를 위해 개발되었다. 각 지역은 고유 자원을 기반으로 자립하며 다른 지역과 교역한다. 각 지역 간의 안정적인 관계는 지리적 위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5] 예를 들어, 리아우 제도 지역은 수마트라 중앙 해안을 따라 위치하여 어업, 해상 활동 및 해양 운송과 강한 관계를 맺는다. 이는 이 지역의 운송 및 교역을 특징짓는다. 수마트라 중앙 지역은 해산물 및 해양 관련 상품 운송을 위해 이 지역에 의존하고, 리아우 제도는 식량 및 기타 상품 수입을 위해 수마트라 중앙 지역에 의존한다.[5]

보르네오섬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섬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다. 7,500만 헥타르에 달하는 이 섬은 지리적, 생태학적으로 다양하다. 열대 우림, 해안 지역, 강 유역 등 세 개의 주요 지리적 지역이 있다.[16] 열대 우림은 중앙에 위치하며, 내륙은 울창한 산악 지대로 둘러싸여 있다. 해안 지역은 맹그로브와 늪지로 특징지어지며,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해안 수역으로 확장된다. 강 유역은 열대 우림과 해안선 사이에 위치하며, 섬 전체의 무역 및 운송 통로 역할을 한다.[16]

보르네오섬은 대순다 열도(북위 1도, 동경 115도)의 최북단 섬이다.[17] 대부분이 인도네시아의 일부(칼리만탄)이지만, 말레이시아(사바 및 사라왁)와 브루나이 전체도 포함한다.

3. 2. 순다 대륙붕

"순다(Sunda)"라는 용어는 대륙붕 또는 육괴를 나타낸다. 인도네시아에는 서쪽에 순다 쉘프, 동쪽에 사훌/아라푸루 쉘프 등 두 개의 쉘프가 있다. "순다"와 관련된 다른 용어로는 순다 열도 호, 나투나 해의 순다 습곡, 순다 해구, 순다랜드가 있다.[1]

4. 생물 다양성

대순다 열도는 생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한 지역으로, 다양한 고유종과 멸종 위기 종들이 서식하고 있다.


  • '''수마트라''': 수마트라 호랑이, 수마트라 코뿔소 등 멸종 위기 종과 200종 이상의 포유류, 600종 이상의 조류가 서식한다.[6] 17종의 맹그로브와 20개 이상의 식물 군락이 숲을 구성하며, 복잡한 수분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4]

수마트라 수컷 오랑우탄

  • '''술라웨시''': 127종의 고유 포유류, 59종의 조류, 17종의 고유 영장류 등 고유 동식물의 핫스팟이다.[14] 1,500종 이상의 고유 식물 종이 서식한다.

술라웨시 남서부 고유종인 무어 마카크와 새끼

  • '''보르네오''': 구눙 물루 국립공원, 키나발루 산 등 국립공원에 보르네오 오랑우탄, 보르네오 코끼리, 보르네오 잎원숭이 등 멸종 위기에 놓인 고유종이 서식한다.[20]
  • '''자바''': 자바 코뿔소, 자바말똥가리, 자바 표범 등 다양한 고유 식물과 동물 종이 서식한다. 섬 토지의 약 80%가 비옥하며, 나머지는 인간 개발에 사용된다.[22]

4. 1. 위협 요인

수마트라의 숲은 산업 개발, 특히 팜유아카시아 농장을 위한 벌목과 산림 벌채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로 인해 숲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1985년 수마트라는 섬의 53%에 해당하는 2,500만 헥타르의 숲으로 덮여 있었지만, 2016년에는 11%에 불과했다.[2] 밀렵과 불법 야생동물 거래 또한 수마트라의 야생동물을 극도로 취약하게 만들었다.

술라웨시에서는 삼림 벌채가 섬에 서식하는 동물군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207만 헥타르의 숲이 파괴되었다. 이는 파괴된 전체 숲의 10.90%에 해당하며, 연평균 0.65%의 숲 손실을 의미한다.[15] 이는 술라웨시의 마카크안경원숭이 등 영장류 종에 특히 큰 영향을 미쳤는데, 토지 개간으로 인해 번식 및 접촉 구역이 12% 감소하여 영장류 개체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5]

보르네오섬의 숲은 천연 자원이 풍부하며, 이는 인도네시아 경제에 상당한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팜 오일 농장 확장을 위해 많은 양의 토지가 계속 개간되고 있다. 이는 숲에 서식하는 오랑우탄과 보르네오 코끼리들에게 극심한 영향을 미쳤다. 밀렵과 불법 야생 동물 거래 또한 보르네오의 야생 동물 다양성과 보존에 뚜렷한 영향을 미쳤다.[21]

5. 인구

수마트라섬에는 약 5,000만 명(2000년 인구 조사 기준)이 거주하며, 이는 세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섬이다.[6] 말레이족, 바탁족, 미낭카바우족, 아체족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7] 현재 수마트라는 이슬람교 (90%)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독교 (8%), 불교 (2%)가 그 뒤를 잇는다.[8] 수마트라에서 사용되는 주요 인도네시아어 방언은 가요어이며, 가요족은 아체 주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으로 약 400만 명으로 추산된다.[10]

술라웨시섬은 대순다 열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섬으로, 약 1,500만 명(2000년 인구 조사 기준)이 거주하며 인도네시아 전체 인구의 약 8%를 차지한다. 주요 민족 집단으로는 부기스족(약 350만 명), 마카사르족(약 150만 명), 만다르족(약 50만 명) 외에 부톤족, 토라자족, 카후마노안족 등이 있다.[13] 술라웨시섬에는 약 114개의 언어 방언이 있으며, 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한 분파를 형성한다.[13] 섬 인구의 약 80%가 이슬람교를 믿으며, 기독교는 주로 북술라웨시섬을 중심으로 분포한다.[13]

보르네오에는 약 2,100만 명(2014년 인구 조사 기준)이 거주하며, 190개가 넘는 민족이 존재한다. 인도네시아어, 객가어, 타밀어, 영어 등 다양한 지역 방언과 언어가 사용되며, 100개가 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가 존재한다.[18]

자바섬은 인도네시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섬으로, 약 1억 5천만 명이 거주하며 인도네시아 전체 인구의 약 55%를 차지한다. 이는 자바 섬을 세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로 만든다.[22] 자카르타는 자바 섬 북부 해안에 위치한 수도이다. 인구의 대다수는 자바인과 순다인이며, 소수 민족으로는 중국인, 아랍인, 인도인 및 기타 이민족이 있다.[23]

6. 문화

수마트라섬에는 말레이족, 바탁족, 미낭카바우족, 아체족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 이들은 고유한 전통과 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구전, 문헌, 사회적, 예술적 소통을 통해 대대로 전해져 내려왔다.[7] 현재 수마트라는 이슬람교(90%), 기독교(8%), 불교(2%) 순으로 종교가 분포되어 있다.[8] 말레이족은 수마트라에서 가장 지배적인 민족 집단이며, 이슬람교와의 연결은 말레이 문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슬람교를 따르는 것은 말레이 정체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슬람교 신자만이 말레이인으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9] 수마트라에서 사용되는 주요 인도네시아어 방언은 가요어이며, 아체 중앙 고지대 주민들이 사용하는 살아있는 언어이다. 가요족은 아체 주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 집단으로, 추산 인구는 400만 명이다.[10]

술라웨시섬은 대순다 열도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섬이다. 남부에는 부기스족(약 350만 명), 마카사르족(150만 명), 만다르족(50만 명) 등이 거주하며,[13] 북동부에는 마나도와 미나하사 지역이 있다. 술라웨시섬에는 약 114개의 언어 방언이 있으며, 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한 분파를 형성한다. 각 지역과 민족은 일반적으로 고유한 방언과 언어를 가지고 있다. 섬에서 가장 널리 따르는 종교는 이슬람교이며(인구의 약 80%), 기독교는 북술라웨시섬 전역에서 더 두드러진다.[13]

자바 섬은 인도네시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섬으로, 약 1억 5천만 명이 거주하며 인도네시아 전체 인구의 약 55%를 차지한다.[22] 인구의 대다수는 자바인과 순다인이며, 소수 민족으로는 중국인, 아랍인, 인도인 및 섬에 정착한 기타 이민족이 있다.[23]

7. 경제

무역은 대순다 열도의 주요 수입원이며, 브루나이 다루살람의 석유 수출이 섬 전체 수입의 99%를 차지한다. 1920년대부터 석유 생산이 꾸준히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생산이 번창하면서 보르네오인도네시아 본토 및 말레이시아와 함께 세계 액화 천연 가스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16]

8. 한국과의 관계

(이전 출력이 비어있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9. 주요 명소

수마트라는 로이저 산 국립공원, 마닌자우 호, 시바약 산 등 아름다운 자연으로 유명하다. 자와섬에는 브로모 산, 프람바난 사원, 보로부두르 사원 등 인도네시아 문화유산이 많이 있다. 보르네오섬에는 브루나이의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모스크, 사라왁의 니아 국립공원, 사바의 보헤이 둘랑과 코타키나발루 등이 주요 명소이다.[19] 술라웨시의 주요 명소로는 마하우 산, 탕코코 바투앙거스 자연 보호구역, 로테르담 요새 등이 있다.

9. 1. 수마트라

수마트라는 인도네시아에서 두 번째로 크고 가장 서쪽에 위치한 섬이자,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이다. 473481km2에 달하는[2] 수마트라는 인류 문명과 다양한 야생 동물을 품고 있는 열대 우림의 터전이다. 적도와 가까운 위치(1º S, 101º E)[3]는 열대 기후를 결정하며, 이로 인해 엘니뇨라니냐와 같은 기후 현상의 영향을 받는다.[4]

수마트라는 행정적으로 12개의 주요 지역으로 나뉜다. 이 지역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섬 전역에서 기능적인 정치, 경제 및 문화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각 지역은 해당 지역에 풍부한 고유한 자원을 기반으로 자립하며, 다른 지역과 교역을 한다. 따라서 각 지역 간의 안정적인 관계는 그 지리적 위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5] 예를 들어, 리아우 제도 지역은 수마트라의 중앙 해안을 따라 위치해 있으며, 따라서 어업, 해상 활동 및 해양 운송과 강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는 이 지역의 운송 및 교역 측면을 특징짓는다. 수마트라의 중앙 지역은 해산물 및 해양 관련 상품을 운송하기 위해 이 지역에 의존하는 반면, 리아우 제도는 식량 및 기타 상품의 수입을 위해 수마트라 중앙 지역에 의존한다.[5]

수마트라는 로이저 산 국립공원, 마닌자우 호, 시바약 산을 포함한 자연의 경이로움으로 유명하다.

9. 2. 자와

자와 섬은 1300ha가 넘는 면적을 차지하며, 대순다 열도의 최남단 섬이다. 대부분의 토지는 인간의 사용을 위해 경작되었지만, 여전히 다양한 숲과 야생의, 사람이 살지 않는 산악 지역이 존재한다.[22]

자와 섬에는 수백 년에 걸친 인도네시아 문화사가 깃들어 있다. 주요 명소로는 브로모 산, 프람바난 사원 및 보로부두르 사원이 있다. 프람바난 사원은 9세기에 힌두교의 삼위일체인 트리무르티를 기리고 숭배하기 위해 건설된 힌두교 사원이다.[24] 보로부두르 사원은 대승 불교 사원으로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이 사원은 9세기에 건설되었으며, 불교에 헌정하는 수많은 조각상과 정교한 디자인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는 자와 섬의 길고 다양하며 풍요로운 종교적, 문화적 역사를 보여준다. 인도네시아 문화의 전통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25]

9. 3. 보르네오

보르네오섬은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섬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이다. 7500만ha에 걸쳐 확장된 이 섬은 지리적으로나 생태학적으로 다양하다. 열대 우림, 해안 지역, 강 유역 등 세 개의 주요 지리적 지역이 있다.[16] 열대 우림은 중앙에 위치하며, 내륙에서는 울창하고 무성한 산악 지대로 둘러싸여 있다. 해안 지역은 맹그로브와 늪지로 특징지어지며, 종종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해안 수역으로 확장된다. 강 유역은 열대 우림과 해안선 사이에 위치하며, 섬 전체의 무역 및 운송 통로 역할을 한다.[16]

보르네오섬은 대순다 열도(북위 1도, 동경 115도)의 최북단 섬이다.[17] 대부분이 인도네시아의 일부(이 부분은 칼리만탄으로 알려져 있음)이지만, 말레이시아(사바 및 사라왁)와 브루나이 전체도 포함한다.

보르네오의 주요 랜드마크로는 브루나이의 오마르 알리 사이푸딘 모스크, 사라왁의 니아 국립공원, 사바의 보헤이 둘랑과 코타키나발루가 있다.[19]

9. 4. 술라웨시

보르네오와 말루쿠 제도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술라웨시는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섬이다.[11] 술라웨시에는 11개의 활화산이 있으며, 이러한 지질 현상은 술라웨시에 거주하는 지역 사회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술라웨시는 또한 대규모 지진에 취약하다. 이러한 자연 재해는 술라웨시의 지리적 위치, 적도와의 근접성, 그리고 지각판과의 연관성 때문이다.[11]

1960년 당시, 이 섬은 지역에 대한 더 큰 경제적, 사회적 통제를 시도하기 위해 두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다. 이 지역들은 술라웨시의 북부와 남부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북술라웨시는 매우 산악 지형이며 섬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화산이 여기에 위치해 있다. 남술라웨시는 산호초 시스템과 하천과 같은 해안 지형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1964년, 술라웨시는 북술라웨시, 중술라웨시, 동남술라웨시 및 남술라웨시의 네 개 주로 더 세분화되었다.[12] 주요 랜드마크로는 마하우 산, 탕코코 바투앙거스 자연 보호구역, 로테르담 요새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Berawal dari Gunung Purba, Begini Asal Usul Nama Sunda https://tekno.tempo.[...]
[2] 웹사이트 Sumatra https://www.eyesonth[...] 2020-11-20
[3] 웹사이트 Latitude, Longitude and GPS coordinates of Sumatra https://www.gps-lati[...] 2020-11-20
[4] 논문 The Ecology of Sumatra https://books.google[...] 2012-06-26
[5] 논문 The major geographic regions of Sumatra, Indonesia https://doi.org/10.1[...] 1966
[6] 웹사이트 Sumatra and Borneo {{!}} Animals, People and Threats {{!}} WWF https://www.worldwil[...] 2020-11-20
[7] 웹사이트 Indonesia - Ethnic groups https://www.britanni[...] 2020-11-20
[8] 웹사이트 Religion in Indonesia {{!}} Indonesia Investments https://www.indonesi[...] 2020-11-20
[9] 논문 Some Aspects of Malay-Muslim Ethnicity in Peninsular Malaysia http://www.jstor.org[...] 1981
[10] 웹사이트 ETHNIC GROUPS IN SUMATRA {{!}} Facts and Details http://factsanddetai[...] 2020-11-20
[11] 논문 The Ecology of Sulawesi https://books.google[...] 1987
[12] 웹사이트 North Sulawesi {{!}} province, Indonesia https://www.britanni[...] 2020-11-20
[13] 웹사이트 indahnesia.com - Sulawesi island - The population - Huge ethnical diversity - Discover Indonesia Online https://indahnesia.c[...] 2020-11-20
[14] 논문 Effects of Land Use on Bird Species Richness in Sulawesi, Indonesia https://doi.org/10.1[...] 2004
[15] 웹사이트 Deforestation on Indonesian island of Sulawesi destroys habitat of endemic primates http://theconversati[...] 2020-11-20
[16] 논문 On the geography of Borneo https://doi.org/10.1[...] 1991
[17] 웹사이트 GPS coordinates of Borneo, Indonesia. Latitude: 3.3547 Longitude: 117.5965 http://latitude.to:8[...] 2020-11-20
[18] 논문 The Christianity of Culture: Conversion, Ethnic Citizenship, and the Matter of Religion in Malaysian Borneo https://books.google[...] 2012
[19] 서적 Tourism and Monarchy in Southeast Asia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 논문 Biodiversity and Forest Change in Malaysian Borneo https://doi.org/10.2[...] 1992
[21] 서적 Life After Logging: Reconciling Wildlife Conservation and Production CIFOR and UNESCO
[22] 논문 Java: The economic geography of a tropical island https://doi.org/10.2[...] 1925
[23] 서적 The Religion of Jav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논문 TOURISM COMPONENTS AND TOURISTS CHARACTERISTIC OF PRAMBANAN TEMPLE AS THE WORLD CULTURE HERITAGE SITE IN YOGYAKARTA, INDONESIA https://www.research[...] 2016
[25] 서적 Tantric Temples: Eros and Magic in Java Ibis Press
[26] 웹사이트 スンダ列島(読み)スンダレットウ https://kotobank.jp/[...]
[27] 웹사이트 スンダれっとう【スンダ列島】 https://kids.gakken.[...]
[28]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の地域分類 https://www.jbic.go.[...]
[29]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の地方自治 http://www.clair.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